티스토리 뷰
유튜브 속 직무 관련 영상 모음
★ [우아한형제들] 개발자가 생각하는 좋은 PM 나쁜 PM
좋은 PM
- 동기 유발
데이터 기반으로 고객, 비즈니스 가치를 고려하여 '왜' 해야 하는지 설명할 수 있다.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창구 마련(피드백 사이클), 문제 > 해결 흐름으로 접근, 인간적인 유대 - 깊이있는 정책 이해
업무 프로세스와 데이터 흐름, 도메인에 대한 이해, 일정, 프로젝트 우선순위 선정 - 개발 시스템에 대한 이해
★ [우아한형제들] PM이 회사를 고를 때 프로덕트 디자인 조직을 잘 살펴봐야 하는 이유
디자인 조직이 하는 일
- 얼마나 깊게 사용자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가
- 얼마나 많은 가능성을 다양하게 테스트 하는가
사용자의 진짜 삶을 공감하기 위한 노력
★ 프로덕트 매니저 (Product Manager/PM)는 어떤 일을 하는 무슨 직업인가요?
- hard skill
분석 Analytical ability :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떤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가?
기술 : 프로그래머와 대화할 때 막힘이 없는가?
제품 / 전략적 통찰 Product & Strategic insight : 많은 양의 리서치 & 시장조사를 통해 쌓을 수 있음
- soft skill
소통 :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중재
창의성 : 한 분야에 대한 많은 시간과 관심을 통해 개발됨(+@ 요소)
문화적합성 Cultural fit : 조직에 맞는 리더십 등
- role play 연습하기 : 목표 설정, 나라면 어떻게 할 것인지 시뮬레이션
왜 카톡은 한국사람들만 쓸까? 해외 진출 시도가 있지 않았을까? 왜 성공하지 못했을까? 나라면 어떤 전략을 사용할 것인가? 목표달성 위한 to-do는 무엇인가?
★ 뉴욕 스타트업 PM의 프로덕트 헌트(Product Hunt)를 활용한 스타트업 아이디어 훈련법 꿀팁!
Product hunt : 크롬 익스텐션 활용 가능
제품 launching 하기 전에 미리 테스트 해보는 용도로 활용 가능
랜덤하게 걸리는 서비스/제품에 대해서 분석해보기
프로덕트 완성을 위한 프로젝트가 있음(프로젝트는 한시적, 시작과 끝이 있음)
프로젝트 관리 : 프로덕트 관리의 일부분. 일정, 범위,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 품질 관리
프로덕트 관리 : 광범위한 이해관계자와 커뮤니케이션. 프로젝트 관리 업무가 일부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해야하는 것은 아니고, 전체 업무도 아니다.
★ 곧 IT 기획자라는 직업은 사라집니다
프로덕트 팀
- 같은 컨텍스트를 공유, 이해해서 자율성을 기반으로 프로세스 진행. 데일리 싱크를 통해 딜레이 최소화
- '왜 만들어야 하는지?' '어떤 점이 지금 중요한지?' '왜 지금 이게 진행되고 있는가?' '이 시점에 이 기능을 만드는 것이 왜 중요한가?'
프로덕트 디자이너 : 고객에 대해 이해하고 고객인터뷰, 페인포인트 해결하기 위한 고민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 완료한 업무 목록 (0) | 2023.11.05 |
---|---|
[도서] 영혼의 설계자 (0) | 2023.06.18 |
[도서] 단순함의 법칙 (0) | 2023.06.09 |
★ 스타트업 프로덕트 매니저로 취업시 필요한 스킬을 키우는 꿀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