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장 검색, 오래된 미래 [검색이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야 하는가] 한국 검색엔진의 문제점 1 네이버의 폐쇄성 vs 구글의 개방성 - 네이버 안의 ucc 콘텐츠가 외부 검색엔진에서 잘 검색되지 않는 문제 - 외부 블로그나 게시판 등을 제대로 검색해주지 못하는 문제 2 네이버의 검색서비스 조작 의혹 vs 구글의 공정성 - 검색어 로그자료 개방 3 네이버의 독과점 - 사회적 기여를 요구 - 검색어 로그 개방, 학술 정보 생산 [좋은 검색 : 믿을 만한 정보로 신속하게] - 최종 목표 = 믿을 만한 정보로 신속하게 이동시켜주는 것 - 신뢰도 향상과 신속성 - 범용 검색엔진과 분야별 검색엔진, 의미와 한계 - 검색의 모든 문제는 문서의 신뢰도 측정에 닿아있음 > 랭킹으로 이어짐
1. 검색 1) 기능 검색을 통해 사용자는 빠르게 콘텐츠를 찾을 수 있음 검색을 통해 텍스트 필드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관련 결과를 볼 수 있음 2) 일반적인 검색 UI 특징 수정 가능한 텍스트 필드 검색 버튼, 지우기 버튼, (선택적 : 플레이스홀더* 텍스트) 과거 검색어 제안, 검색어 자동 완성, 음성 입력 등 3) 일반적인 검색 이용 과정 검색 기능 선택 > 메인 화면 진입 > 검색어 입력 > 검색 결과 확인 > 결과 정렬/필터 검색 메인 화면 진입 : 인기 검색어나 주요 카테고리, 추천 콘텐츠 등 확인 수도 있음 검색 입력 박스(input field) 확인 : 에서 검색 가능한 범위와 대상 파악 검색어 입력 입력하는 과정에서 대상이 존재하는지 안내(자동완성이나 연관 키워드 등) 음성, 이미지, 위..
1. 컨텍스트 메뉴 1) 소개 일반적으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거나 버튼을 클릭하는 등 사용자 상호작용에 따라 나타나는 메뉴 팝업 메뉴, 드롭다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지만 일반적으로 비슷하게 보임 사용자 상호 작용 중에 작동하는 방식은 조금씩 다름 2) 여는 방법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버튼 클릭 3) 장점 인터페이스를 어지럽히지 않고 화면 항목과 관련된 기능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함 4) 특징 / 팁 공간이 충분하면 컨텍스트 메뉴의 왼쪽 상단이 커서/버튼의 왼쪽 하단에 정렬됨 > 사용자의 예측 가능성이 높음 컨텍스트 메뉴가 연결된 항목을 강조 표시하여 선택한 항목이 어디에 적용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음 창 크기에 반응하여 컨텍스트 메뉴의 위치를 조정 키보드 단축키를 통해 탐색..